봉산문화회관

BONGSAN
CULTURAL CENTER

공지사항

커뮤니티

공지사항

목록 번호,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항목별 순서대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제목 2022 유리상자-아트스타Ⅳ 장하윤展
작성자 봉산문화회관 작성일 2022-10-12 00:00:00 조회수 2666
첨부파일 한글문서 봉산-유리상자 장하윤展 보도자료.hwp   jpg 이미지 봉산-유리상자 장하윤1.jpg   jpg 이미지 봉산-유리상자 장하윤2.jpg   jpg 이미지 봉산-유리상자 장하윤3.jpg  

 

 

봉산문화회관기획 전시공모 선정작가展
2022 유리상자-아트스타Ⅳ 장하윤展
낮과 밤, 그 사이

 

 

 

 

관 람 일 정 : 2022. 10. 14.(금) ~ 12. 25.(일) ※월요일 전시 없음
관 람 시 간 : 10:00~18:00 
작 가 만 남 : 2022. 10. 14.(금) 18:00 
장     소 : 봉산문화회관 2층 아트스페이스
코디네이터 : 김민주  artistminju@naver.com
기     획 : 봉산문화회관
문     의 : www.bongsanart.org, 053-661-3500
           페이스북(bongsanart), 인스타그램(bongsanart_), 트위터(@bongsanart)

 


전시 소개
봉산문화회관의 기획, 「2022 유리상자-아트스타」전시공모선정 작가展은 동시대 예술의 새로운 시각을 지향합니다. 대구 중구 도심 속에 자리 잡고 있는 봉산문화회관의 유리상자(아트스페이스)는 전시공간 밖에서 유리를 통해 관람객이 안을 관람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곳으로 설치된 작품을 다방면으로 관람하기가 용이하다는 점 때문에 시민들이 쉽게 찾고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예술공간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소와 공간적 특수성을 예술가의 다양한 동시대정신을 담을 수 있는 빛나는 그릇으로 활용코자 공모하는 기획프로그램이 ‘유리상자-아트스타’입니다. 이에 봉산문화회관은 변화되는 예술의 시대적 담론을 담기 위한 유연한 정책적 모색과 새로운 도전적 실험으로 예술을 사랑하는 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문화콘텐츠를 제공하는 공공예술 지원센터로서 역할을 다할 것입니다. 그리고 전국 공모를 통해 참신하고 역량 있는 작가들의 작품들을 선보이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앞으로도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예술가지원 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입니다.
2021년 전시 공모에 주제로 언급된 ‘공간으로부터’는 “시각의 인식은 공간으로부터 시작된다.”라는 생각을 기조로 현상학적 장소에 대한 새로운 지각이 설치미술의 발흥으로 이어졌듯 작가의 실험적 영감이 공간을 통해 얻어지도록 자극하기 위한 주제입니다. 평면에서 입체 그리고 가용 가능한 실험미술을 아우르는 작가의 일면들을 소환, 재생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재고(再考)하고 실험행위의 반복과 축척에서 얻어진 육체적 감각을 기반으로 대안적 태도를 발산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2022년 유리상자 전시공모 선정작 마지막 전시, 유리상자-아트스타Ⅳ에서는 장하윤 작가의 전시명 ‘낮과 밤, 그 사이’를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지난 2021년 9월 서류 및 인터뷰 심사에서 ‘공간 확장’으로 요약되는 공모주제에 대해 작가는 유리상자 공간을 실존하지 않은 심상의 장소로 이동시키며 눈보다는 마음으로, 재현보다는 수집된 이미지의 추출에서 나오는 심리적 공간을 구성하는 계획으로 공모하였습니다. 당시 심사위원은 현대인에게 집이 가지는 복합적인 의미를 작가의 시각적 예민함과 예술적 감수성으로 구체화한 작품이라는 점과 도심 속에 자리잡고 있는 봉산문화회관 유리상자 공간과의 시각적인 조화로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점으로 우수한 평을 받았습니다. 공모작품으로 선정되고 유리상자에 구조물이 세워졌을 때 처음 마주한 느낌은 아파트 건축조형물로 다가왔습니다. 공간 중심부에 대각선으로 나열된 3개의 복도식 아파트의 형상은 합판을 정밀하게 타공한 사실적인 모습이었고 창문과 복도 틈에서 새어 나오는 불빛과 함께 실존하는 작은 건축물로 보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내 반대쪽으로 돌아보면 또 다른 이미지로 시선을 사로잡게 됩니다. 실물 조형물과 다른 회화적 공간으로 실존하지 않는 바람, 새벽 공기 흐름이 표현되었으며 많은 실험을 통해 도출해냈을 법한 각기 다른 모양의 창문과 불빛 색이 어울려져 회화의 무궁무진한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작가는 이런 이중적 구조로 우리에게 집의 의미를 외적인 시각적 요소와 내적인 심리적 요소로 구분해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해 관람자들에게 의미를 확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집은 동물이 짝을 찾고 보금자리를 꾸미는 가장 원시적이고 근본적인 의미를 지니지만 인간이 활동하는 현대사회에서는 더욱더 복잡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인간이 소유하고자 하는 가장 최소단위의 면적을 넘어 오늘에 만족하지 않고 확장, 재생산하려는 삶의 원심적 근원으로도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각기 다른 관점에서 집을 바라보는 시각은 열려 있지만 장하윤 작가는 시작점과 귀결점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작가는 “새벽까지 작업하며 집에 다다를 무렵 아파트에 켜진 불빛들이 아른거릴 때 느끼는 안도감과 누군가도 나와 같은 시간에 저마다의 삶을 살고 있다는 위로가 이 작업의 배경이 되었다.”라고 말합니다. 낮과 밤은 누구나 각기 다른 시간적인 의미이지만, 그 사이에 있었던 힘겨운 삶의 무게를 내려놓고 새로운 시작을 재충전하는 시작과 끝을 의미하고 있는 것입니다. 작가는 그 의미를 담은 불빛을 이정표로 삼아 집에 도착할 즈음 바라보는 이미지 안에 선행적으로 느끼는 복잡한 내면의 감정을 뒤로하고 정주의 공간으로 들어가는 인간의 모습을 연상케 하고 있습니다. 마치 약육강식의 법칙에서 오롯이 개인이 감당해야 하는 삶의 무게를 보여주며 어두운 밤, 유리상자 안 아파트와 빌딩 숲 불빛들과 함께 수놓으며 도심 속 빛과 그림자의 세계를 말없이 비춰주고 있습니다.

 


 

 

 

 

다음글 기억공작소 - 이태형展 
이전글 유리상자-아트스타2023 전시공모 최종 심사결과 공고